孫子 (손자) 孫武 (손무)

孫子(손자) 손무(孫武)

중국 고대의 병법서(兵法書).


《오자(吳子)》와 병칭(倂稱)되는 병법 칠서(七書) 중에서 가장 뛰어난 병서로 이 둘을 합쳐 흔히 '손오병법(孫吳兵法)'이라고 부른다. 저자는 춘추시대 오나라 합려(闔閭)를 섬기던 명장 손무(孫武:BC 6세기경)이며, 손자는 그를 높여 부르는 호칭이다. 예전에는 손무의 손자로 전국시대 진(晉)나라에서 활동한 손빈의 저서라고 추정하기도 하였으나, 1972년 산둥성[山東省] 린이현[臨沂縣] 인췌산[銀雀山]에 있는 전한시대의 묘에서 《손자》와 《손빈병법》 2가지가 동시에 출토됨으로써 손빈이 지은 병법서는 별개의 책임이 확인되었다.

사기(史記)》에는 손자 13편이라 하였으나 그 편목은 알 수 없으며,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오손자병법 82편이라 하여 <병서략(兵書略)> 첫머리에 기재하고 주(注)에는 그림 9권이 있었다고 하였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13편으로 이것은 당초의 것이 아니고, 삼국시대 위(魏)의 조조(曹操)가 82편 중에서 번잡한 것은 삭제하고 정수(精粹)만을 추려 13편 2책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13편의 편명은 계(計)·작전(作戰)·모공(謀攻)·군형(軍形)·병세(兵勢)·허실(虛實)·군쟁(軍爭)·구변(九變)·행군(行軍)·지형(地形)·구지(九地)·화공(火攻)·용간(用間)으로 되어 있으며, “병(兵)은 국가의 대사(大事), 사생(死生)의 땅, 존망(存亡)의 길”이라는 입장에서 국책(國策)의 결정, 장군의 선임을 비롯하여 작전·전투 전반에 걸쳐 격조 높은 문장으로 간결하게 요점을 설명하고 있다. 그 뜻하는 바는 항상 주동적 위치를 점하여 싸우지 않고 승리하는 것을 주로 하고, 또 사상적인 뒷받침도 설하고 있어 병서로서는 모순을 느낄 만큼 비호전적(非好戰的)인 것이 특징이다.

예로부터 작전의 성전(聖典)으로서 많은 무장들에게 존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경영의 요지와 인사의 성패 등에도 비범한 견해를 보이고 있어 인생문제 전반에 적용되는 지혜의 글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예로부터 많은 무신들이 이를 지침으로 삼았고, 조선시대에는 역관초시(譯官初試)의 교재로 삼기도 하였다. 지피지기(知彼知己), 백전불태(百戰不殆)라고 하여, “남을 알고 자신을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명구도 담고 있으며, 전쟁하여 이기는 것보다 전쟁하지 않고 이기는 것을 최선으로 여겼다. 《손자병법》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인용 번역되고 있다.


손자 관련 한자어

九地篇(구지편)

吳越同舟(오월동주, WúYuètóngzhōu)

軍爭篇(군쟁편)

以迂爲直(이우위직) | 以患爲利(이환위리)

2 comments:

  1.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전략적 판단을 내릴 때 '바이블'로 삼는 것이 바로 '손자병법'이다. 손자병법 13편의 3619자를 달달 외우고 있을 정도의 매니아다. 지난 7일에는 대북특사 파견론을 일축하며 '무약이청화자, 모야'(無約而請和者, 謀也: 약속이 없는데 화해 등을 청하는 것은 모략이 있는 것)라는 손자병법 구절을 인용했다. (2014.04.11)

    ReplyDelete
  2. 손자병법 모공(謀攻)편에 '고상병벌모(故上兵伐謀), 기차벌교(其次伐交)'라는 구절이 있다. 최상의 병법은 적의 의도를 사전에 차단하는 '벌모'이고, 차선은 적을 고립시키는 '벌교'라는 것이다. 이에 비춰볼 때 우리는 북한에게 '벌모'를, 북한은 우리에게 '벌교'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도발시 강력 대응' 방침을 거듭 확인하고, 미군이 B-2 폭격기 등 최첨단 전력을 불러온 게 바로 '벌모'다. 북한의 '벌교' 전략은 전쟁 위기감을 높여 한국에서 "북한에게 양보하라"는 여론을 조장하는 것이다. (2014.04.11)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