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八史略(십팔사략)
증선지
卷03
東漢
〔世祖光武皇帝〕名秀、字文叔、長沙定王發之後也、景帝生發、發生舂陵節侯買、侯再三世、徙封以南陽白水鄕爲舂陵、宗族往家焉、買少子外、外生囘、囘生南頓令欽、欽生秀於南頓、有嘉禾一莖九穗之瑞、故名、先是有望氣者、望舂陵曰、氣佳哉、鬱鬱葱葱然、
十八史略 (십팔사략) 증선지
十八史略(십팔사략)
증선지
Alternative Names (異名):
十八史略(shíbāshǐlüè), 고금역대 십팔사략(古今歷代十八史略)
십팔사략(十八史略)은 원나라의 증선지가 지은 중국 고대사를 담은 역사서이다.
증선지
Alternative Names (異名):
十八史略(shíbāshǐlüè), 고금역대 십팔사략(古今歷代十八史略)
십팔사략(十八史略)은 원나라의 증선지가 지은 중국 고대사를 담은 역사서이다.
神仙傳 (신선전) 葛洪 (갈홍)
神仙傳(신선전)
갈홍(葛洪)의 신선전(神仙傳)은 고대 전설에 나오는 94명의 신선들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이다. 이 책은 후한(後漢) 때 열선전(列仙傳)에 의해 계승되었다.
갈홍(葛洪)의 신선전(神仙傳)은 고대 전설에 나오는 94명의 신선들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이다. 이 책은 후한(後漢) 때 열선전(列仙傳)에 의해 계승되었다.
新書 (신서) 賈誼 (가의)
新書(신서) 賈誼(가의)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인 가의(賈誼)의 저서.
전한(前漢)의 문인 가의(賈誼)가 한(漢)나라의 폐단을 지적하여 펴낸 정치이론서이다. 역사적 사건에서 소재를 가져왔는데, 멀리는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세 면을 열어 놓은 그물(網開三面)' 이야기에서 가깝게는 진(秦)나라 때의 '천패신이(踐敗臣履)' 이야기까지 실려 있다.
30여 편의 고사 중 '대도(大都)'편의 '대도의국(大都疑國)'에는 군벌약화 등 진보적인 정치주장이 담겨 있으며, '춘추(春秋)'편의 ‘거머리를 삼킨 초혜왕’을 비롯한 10개 우언과 '유성(諭誠)'편의 '세 면을 열어 놓은 그물' 등 4개 우언은 모두 유가(儒家)의 인(仁)의 실천의 견해를 반영하는 것이다. '연어(連語)'편의 ‘두 가의 백옥’에서는 관대한 정치를 주장하였고 '심미(審微)'편의 '한 해의 보리'는 법가(法家)의 신상필벌(信賞必罰) 사상을 반영하는 내용이다. 사상적 경향과 제재의 특징이 뒤의 한대(漢代) 이론서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인 가의(賈誼)의 저서.
전한(前漢)의 문인 가의(賈誼)가 한(漢)나라의 폐단을 지적하여 펴낸 정치이론서이다. 역사적 사건에서 소재를 가져왔는데, 멀리는 은(殷)나라 탕왕(湯王)의 '세 면을 열어 놓은 그물(網開三面)' 이야기에서 가깝게는 진(秦)나라 때의 '천패신이(踐敗臣履)' 이야기까지 실려 있다.
30여 편의 고사 중 '대도(大都)'편의 '대도의국(大都疑國)'에는 군벌약화 등 진보적인 정치주장이 담겨 있으며, '춘추(春秋)'편의 ‘거머리를 삼킨 초혜왕’을 비롯한 10개 우언과 '유성(諭誠)'편의 '세 면을 열어 놓은 그물' 등 4개 우언은 모두 유가(儒家)의 인(仁)의 실천의 견해를 반영하는 것이다. '연어(連語)'편의 ‘두 가의 백옥’에서는 관대한 정치를 주장하였고 '심미(審微)'편의 '한 해의 보리'는 법가(法家)의 신상필벌(信賞必罰) 사상을 반영하는 내용이다. 사상적 경향과 제재의 특징이 뒤의 한대(漢代) 이론서에 영향을 미쳤다.
新唐書 (신당서)
新唐書(신당서)
≪신당서≫는 1044∼1060년까지 17년에 걸쳐 완성하였다. 구양수(歐陽修)·송기(宋祁) 등이 고쳐 편찬하였고, 재상 증공량(曾公亮)이 총재(總裁)하였다.
<본기本紀>는 고조 1권, 태종 1권, 고종 1권, 측천순성무황후(則天順聖武皇后) 및 중종 1권, 예종·현종 1권, 숙종·대종 1권, 덕종·순종·헌종 1권, 목종·경종·문종·무종·선종 1권, 의종·희종 1권, 소종·애종 1권을 합쳐서 10권, <지志>는 예악지 12권, 의위지 1권, 거복지 1권, 역지 6권, 천문지 3권, 오행지 3권, 지리지 7권, 선거지 2권, 백관지 4권, 병지 1권, 식화지 5권, 형법지 1권, 예문지 4권을 합쳐서 50권, <표表>는 재상(宰相) 3권, 방진(方鎭) 6권, 종실세계(宗室世系) 1권, 재상세계(宰相世系) 5권을 합쳐서 15권, <열전列傳>은 후비 2권, 종실(宗室) 1권, 제제자 4권, 제제공주(諸帝公主) 1권, 제신 112권, 제이번장(諸夷藩將) 1권, 종실재상(宗室宰相) 1권, 충의 1권, 탁행(卓行) 1권, 효우(孝友) 1권, 은일(隱逸) 1권, 순이(循夷) 1권, 유학 3권, 문예(文藝) 3권, 방기(方伎) 1권, 열녀 1권, 외척 1권, 환관(宦官) 2권, 혹리(酷吏) 1권, 번진(藩鎭) 5권, 북적(北狄) 1권, 서역(西域) 1권, 남만(南蠻) 1권, 간신(姦臣) 1권, 반신(叛臣) 1권, 역신(逆臣) 1권을 합쳐서 150권으로 총계 225권이다. ≪구당서≫에 비하여 <본기> 10권이 줄고, <지>가 3종목 신설되어 20권이 늘었다. <표> 4종목 15권이 신설되고, <열전>은 권수는 같으나 종목이 늘었다. 중복된 것을 없애고 부족한 것을 보충하며, 체계를 정비하여 내용이 갖추어졌다.
≪신당서≫는 1044∼1060년까지 17년에 걸쳐 완성하였다. 구양수(歐陽修)·송기(宋祁) 등이 고쳐 편찬하였고, 재상 증공량(曾公亮)이 총재(總裁)하였다.
<본기本紀>는 고조 1권, 태종 1권, 고종 1권, 측천순성무황후(則天順聖武皇后) 및 중종 1권, 예종·현종 1권, 숙종·대종 1권, 덕종·순종·헌종 1권, 목종·경종·문종·무종·선종 1권, 의종·희종 1권, 소종·애종 1권을 합쳐서 10권, <지志>는 예악지 12권, 의위지 1권, 거복지 1권, 역지 6권, 천문지 3권, 오행지 3권, 지리지 7권, 선거지 2권, 백관지 4권, 병지 1권, 식화지 5권, 형법지 1권, 예문지 4권을 합쳐서 50권, <표表>는 재상(宰相) 3권, 방진(方鎭) 6권, 종실세계(宗室世系) 1권, 재상세계(宰相世系) 5권을 합쳐서 15권, <열전列傳>은 후비 2권, 종실(宗室) 1권, 제제자 4권, 제제공주(諸帝公主) 1권, 제신 112권, 제이번장(諸夷藩將) 1권, 종실재상(宗室宰相) 1권, 충의 1권, 탁행(卓行) 1권, 효우(孝友) 1권, 은일(隱逸) 1권, 순이(循夷) 1권, 유학 3권, 문예(文藝) 3권, 방기(方伎) 1권, 열녀 1권, 외척 1권, 환관(宦官) 2권, 혹리(酷吏) 1권, 번진(藩鎭) 5권, 북적(北狄) 1권, 서역(西域) 1권, 남만(南蠻) 1권, 간신(姦臣) 1권, 반신(叛臣) 1권, 역신(逆臣) 1권을 합쳐서 150권으로 총계 225권이다. ≪구당서≫에 비하여 <본기> 10권이 줄고, <지>가 3종목 신설되어 20권이 늘었다. <표> 4종목 15권이 신설되고, <열전>은 권수는 같으나 종목이 늘었다. 중복된 것을 없애고 부족한 것을 보충하며, 체계를 정비하여 내용이 갖추어졌다.
Subscribe to:
Posts (Atom)